카테고리 없음

반야심경 해설

wkdtksdls38 2008. 11. 28. 08:07

반야심경 해설 / 무지역무득(無智亦無得)


    반야심경 해설 / 무지역무득(無智亦無得) 위에서『반야심경』은 일체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존재를 모두 부정하고 있으며, 이어서 그 현상계를 조견(照見)했을 때 나타나는 진리인 사성제와 십이연기까지도 차례로 부정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. 이러한 부정의 논리를 통해서 공의 세계를 드러내는 이유는, 지혜,즉 반야바라밀을 체득하기 위함이며, 그 지혜에 의지해서 모든 보살은 일체의 고액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을 얻는 것입니다. 그런데, 이 장에서는 우리가 마지막까지 가지고 있던, 더 이상 부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여긴 ‘근본’에 대한 부분까지 모두를 부정하게 됩니다. 다시 말해,여기에서는 더 이상 부정해서는 안될 지혜, 즉, 반야바라밀과 그 지혜를 통해 얻어지는 깨달음, 열반까지 모두를 부정해 버리고 있는 것입니다. 바로 여기에서 『반야심경』이 부정의 논리를 통해 공의 세계를 드러내는 마지막 부분이 나타나는 것입니다. 지혜(慧)란 우리가 현상계의 조견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의 안목이며, 얻을 것[得]이란 그 바른 지혜에 의해서 얻게 되는 깨달음의 세계, 즉, 해탈이며, 열반입니다. 즉, 이와 같은 두 가지는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이며, 최후의 목표인데도 불구하고 이 모두를 부정해 버리는 것입니다. 결국, 우리는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지혜를 닦아 나가는 것입니다. 즉, 깨달음의 피안으로 가기 위해 고해[괴로움의 바다]를 건너는 배의 이름이‘지혜’인 것입니다. 그러나, 깨달음의 길이 지혜라고 하니, 모두가 이 지혜에 집착을 해 버립니다. 지혜를 증득하는 것에만 얽매이게 되는 것입니다. 그러나, 반야심경에서는 이 지혜조차도 부정해 버립니다.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배이며,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지혜라고 했을 때 분명 지혜조차도 깨달음에 이르는 방편에 불과한 것입니다. 꿈을 꾸고 있다가 이것이 꿈인 것을 올바로 알아 [지혜] 꿈을 깼다고 했을 때, 꿈을 깨고 나면 꿈을 깨는 최상의 열쇠인 지혜마저도 없어지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 것입니다. 이렇게 말을 하니 우리가 바라 볼 것은 오직 깨달음, 열반의 기쁨뿐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. 그러나 무득(無得)이라고 하여 반야심경에서는 궁극의 깨달음마저도 부정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.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이지요. 이렇게 깨달음에 이르는 지혜와 궁극의 깨달음까지도 모두 부정하고 있다는 것은 이 모두가 공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즉 공(空) 사상은 현상계의 본질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이상세계 즉 해탈, 열반의 본질이기도 한 것입니다. 일체가 공이라면 그것으로 그만이지 그 속에 지혜는 있다던가 해탈은 있다라고 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. 일체가 공이기 때문입니다. 다시 말해 반야심경은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을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. 심지어 지혜나 열반에도 집착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. - 법상스님 -
    직장불교
 
   
<TEXTAREA id=RE_CONTENT style="DISPLAY: none"><link rel="stylesheet" href="http://cafecj.daum-img.net/css/2008/mail2.css?ver=1.01" type="text/css" /> <link rel="stylesheet" href="http://editor.daum.net/services/cafe/css/contents4view.css?ver=1.1.43" type="text/css" charset="utf-8"/> <table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 border="0" id="cafemailTable"> <thead> <tr> <th background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2_001.gif" width="12" height="206" nowrap>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2_001.gif" width="12" height="206" alt="" border="0" /><br /></th> <th style="background: url(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2_003.gif) repeat-x; width: 100%; text-align: left;"> <div style="background: url(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16.gif) 0 50% repeat-x; position: relative; height: 206px; margin-left: 43px;"> <div style="position: absolute; top: 0; right: 0; width: 224px; height: 206px;"> 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2_base.gif" id="sendMailImg" width="224" height="206" alt="" border="0" /><br /> </div> <div style="padding: 81px 0 0 0"> <a href="http://www.daum.net" target="_blank">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2_005.gif" width="36" height="13" alt="Daum" border="0" /></a> <a href="http://cafe.daum.net" target="_blank">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2_006.gif" width="26" height="13" alt="카페" border="0" /></a> </div> <div style="padding: 34px 0 0 0">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title_base.gif" id="sendMailTitle" width="272" height="40" alt="" border="0" /></div> </div> </th> <th width="12" height="160" nowrap>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3_base.gif" id="sendMailImg2" width="12" height="206" alt="" border="0" /><br /></th> </tr> </thead> <tbody> <tr> <td background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07.gif" width="12" nowrap> </td> <td bgcolor="#ffffff"> <div style="padding: 0 40px 16px 61px"> <strong>반야심경 해설 / 무지역무득(無智亦無得)</strong> <div class="mail_con"><center> <TABLE background="#0000ff" bgColor=#131f59 border=5 borderColor= #c7d7ef borderColorDark=#4b6995 cellPadding=6 cellSpacing=0><TR><TD> <CENTER><TABLE background="#0000ff" border=2 borderColor=#c7d7ef borderColorDark=#4b6995 cellPadding=18 cellSpacing=0><TR> <TD width="100%"><CENTER><TABLE background="#009FAF" border=0 borderColor= #7ba5e5 cellPadding=0 cellSpacing=0><tr><td> <center> <img src="http://www.jinjo.org/cgi/bbs/data/SansaPhoto/Dsc00717_copy.jpg "width=600 height=350 type=application/x-shockwave-flash> <br></center></center><br> <span style="line-height:21px"> <PRE><FONT color=white size=3 face=바탕체><B><UL> 반야심경 해설 / 무지역무득(無智亦無得) 위에서『반야심경』은 일체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존재를 모두 부정하고 있으며, 이어서 그 현상계를 조견(照見)했을 때 나타나는 진리인 사성제와 십이연기까지도 차례로 부정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. 이러한 부정의 논리를 통해서 공의 세계를 드러내는 이유는, 지혜,즉 반야바라밀을 체득하기 위함이며, 그 지혜에 의지해서 모든 보살은 일체의 고액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을 얻는 것입니다. 그런데, 이 장에서는 우리가 마지막까지 가지고 있던, 더 이상 부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여긴 ‘근본’에 대한 부분까지 모두를 부정하게 됩니다. 다시 말해,여기에서는 더 이상 부정해서는 안될 지혜, 즉, 반야바라밀과 그 지혜를 통해 얻어지는 깨달음, 열반까지 모두를 부정해 버리고 있는 것입니다. 바로 여기에서 『반야심경』이 부정의 논리를 통해 공의 세계를 드러내는 마지막 부분이 나타나는 것입니다. 지혜(慧)란 우리가 현상계의 조견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의 안목이며, 얻을 것[得]이란 그 바른 지혜에 의해서 얻게 되는 깨달음의 세계, 즉, 해탈이며, 열반입니다. 즉, 이와 같은 두 가지는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이며, 최후의 목표인데도 불구하고 이 모두를 부정해 버리는 것입니다. 결국, 우리는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지혜를 닦아 나가는 것입니다. 즉, 깨달음의 피안으로 가기 위해 고해[괴로움의 바다]를 건너는 배의 이름이‘지혜’인 것입니다. 그러나, 깨달음의 길이 지혜라고 하니, 모두가 이 지혜에 집착을 해 버립니다. 지혜를 증득하는 것에만 얽매이게 되는 것입니다. 그러나, 반야심경에서는 이 지혜조차도 부정해 버립니다.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배이며,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지혜라고 했을 때 분명 지혜조차도 깨달음에 이르는 방편에 불과한 것입니다. 꿈을 꾸고 있다가 이것이 꿈인 것을 올바로 알아 [지혜] 꿈을 깼다고 했을 때, 꿈을 깨고 나면 꿈을 깨는 최상의 열쇠인 지혜마저도 없어지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 것입니다. 이렇게 말을 하니 우리가 바라 볼 것은 오직 깨달음, 열반의 기쁨뿐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. 그러나 무득(無得)이라고 하여 반야심경에서는 궁극의 깨달음마저도 부정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.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이지요. 이렇게 깨달음에 이르는 지혜와 궁극의 깨달음까지도 모두 부정하고 있다는 것은 이 모두가 공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즉 공(空) 사상은 현상계의 본질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이상세계 즉 해탈, 열반의 본질이기도 한 것입니다. 일체가 공이라면 그것으로 그만이지 그 속에 지혜는 있다던가 해탈은 있다라고 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. 일체가 공이기 때문입니다. 다시 말해 반야심경은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을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. 심지어 지혜나 열반에도 집착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. - 법상스님 - <CENTER> 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officebuddha" target=_blank><b><font color=white face=바탕체 size=3>직장불교 <br><img src="http://thumb.200304.album.www.com.ne.kr/Y2003/M04/D02/thumb/thumb_b50_005822sunflower268_com.gif"border="0"><img src="http://thumb.200304.album.www.com.ne.kr/Y2003/M04/D02/thumb/thumb_b50_005822sunflower268_com.gif"border="0"><img src="http://thumb.200304.album.www.com.ne.kr/Y2003/M04/D02/thumb/thumb_b50_005822sunflower268_com.gif"border="0"></a> <CENTER> 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js6875" target=blank> 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12/18_b_o_100pC_5R5Z_000_00_00000186 width= "60" height= "60"> </tr></td></table></tr></td></table></tr></td></table></div> </div> </td> <td background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08.gif" width="12" nowrap> </td> </tr> <tr> <td background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09.gif" width="12" nowrap> </td> <td background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10.gif" height="147"> <div style="background: url(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12.gif) no-repeat; height: 147px;"> <div class="formCafeInfo" style="background: url(http://cafeimg.hanmail.net/cf_img3/admin/ico_letter_001.gif) 55px 18px no-repeat; padding: 10px 0 0 64px; line-height: 1.8"> <strong>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js6875" target="_blank" class="mail_cafename" style="color: #6173e8; font-size: 12px; font-family: 돋움, dotum;">소석의 풍경</a></strong> <br /> 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js6875" target="_blank" class="mail_cafeurl" style="font: normal 11px Tahoma; letter-spacing: px; color: #999;">http://cafe.daum.net/js6875</a> </div><!-- end formCafeInfo --> </div> </td> <td background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f_img3/admin/img_mailf_011.gif" width="12" nowrap> </td> </tr> </tbody> </table> <div class="cafe_add"> <table width="100%"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> <tr><td width="50%"> <ul class="addFl"> <li class="fl" style="padding:0 8px 0 0;">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_bbs/0noti/bbs_read?fldid=0noti&pi=2&spi=1&ppi=1&sddid=000Ouzzzzzzzzzzzzzzzzzzzzzzzzz&dd=000OUzzzzzzzzzzzzzzzzzzzzzzzzz" target="_blank"><img src="https://t1.daumcdn.net/cafe_image/content/top/cafe_mail_40x40.jpg?fhandle=M3JodEZAZnMxNC5wbGFuZXQuZGF1bS5uZXQ6LzEwODAwOTMzLzAvNC5naWY=&filename=4.gif&viewonly=Y" width="40" height="40" alt="SPEED UP! NEW 카페 관리 자세히 보기" /></a></li> <li class="fl" style="padding: 2px 0 0 0;">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_special/0807_cafenewadmin2/main.html" target="_blank">2008, Daum카페의 새로운 시작<br>SPEED UP! NEW 카페 관리를 만나보세요!</a></li> </ul> </td> <td width="50%"> <ul class="addFr"> <li>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support/cafesupport.html" target="_blank">회원모집에서 정모지원까지! 카페 무한지원 프로그램</a></li> <li><a href="http://cafe.daum.net/_bbs/0noti/bbs_read?fldid=0noti&sddid=zzzzzzzzzzzzzzzzzzzzzzzzzzzzzz&dd=000R2zzzzzzzzzzzzzzzzzzzzzzzzz" target="_blank">카페 동영상 올리기 업그레이드!</a></li> </ul> </td> </tr> </table> </div> </TEXTAREA>